서울시설공단 청계천

전체시설

컨텐츠

다리밟기

  1. 홈
  2. 청계천 소개
  3. 문화유적
  4. 문화
  5. 다리밟기
옛날 고서의 다리밟기, 다리밟기는 정월 대보름이 되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마을에 있는 다리 위를 왔다갔다하면서 걷는 놀이로 '답교(踏橋)놀이’라고도 한다.
옛날 고서의 다리밟기

다리밟기는 정월 대보름이 되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마을에 있는 다리 위를 왔다갔다하면서 걷는 놀이로 '답교(踏橋)놀이’라고도 한다.

정월 대보름날 다리밟기를 하는 것은 '교(橋)'가 우리 나라 말로는 '다리(脚)'로 발음되므로 이렇게 하면 1년 동안 다리에 병이 생기지 않는다고 속설이 있기 때문었다. 따라서 1년을 상징하는 열두 다리를 밟기도 하였다고 한다.

원래 다리밟기는 중국 당(唐)나라에서부터 시작되었는데, 이것이 우리 나라에서 시작된 것은 고려시대부터 였다. 조선후기 학자 이수광(李邈光)이 지은 『지봉유설(芝峯類說)』에는‘보름날 밤 답교놀이는 고려조로부터 시작하였는데, 태평스러운 때에는 이 다리밟기가 매우 성하여 남녀가 줄을 이어 밤새도록 그치지 않았기 때문에 관원들이 이를 금해서 체포까지 하게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옛날 고서의 청계천2

도서울에서는 다리밟기가 광통교, 수표교 등 청계천에 놓여 있는 다리를 중심으로 매우 성행하였다. 정월 대보름날 밤이 되면 도성 안 남녀 모든 사람들이 저녁 종소리를 들으려고 먼저 종루(鐘樓)로 몰려들었다. 사람들은 종소리를 들은 다음 청계천을 비롯한 도성 곳곳에 있는 다리로 흩어져 열두 다리를 차례로 밟았다. 이 열두 다리는 대체로 대광통교, 소광통교, 수표교, 장통교, 효경교, 태평교, 모전교, 송기교, 혜정교, 철물교, 동대문 안의 첫 다리(初橋), 두 다리(二橋) 등이었다. 조선 정조 때 안조환(安肇煥)이 지은「만언사(萬言詞)」에는 다리밟기를 다음과 같이 노래하고 있다.

춘정월(春正月) 십오야(十五夜) 상원(上元)야 밝은 달에 / 장안시상(長安市上) 열두다리 다리마다 바람불어 옥호금준(玉壺金樽)은 다리다리 배반(杯盤)이요 / 적성가곡(積聲歌曲)은 다리다리 풍류(風流)로다 웃다리 아래다리 석은다리 헛다리 철물(鐵物)다리 판자(板子)다리 두다리 돌아들어 / 중촌(中村)을 올라 광교(廣橋)다리 굽은다리 수표(水標)다리 동대문 안 첫다리며 서대문 안 학다리요 / 남대문 안 수각다리 모든 다리 밟는 다리」정월대보름날 밤에는 야간 통행금지가 해제되었으므로 사람들은 밤을 세워 다리 위를 다니면서 풍악을 울리며 노래를 하기도 하고, 물에 비친 달을 보며 1년 동안에 좋은 일이 있기를 기원하였다.

다리밟기는 남녀노소, 신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함께 즐겼던 명절놀이였던 만큼 정월 대보름날이면 다리마다 사람들이 모여들어 북새통을 이루었다. 따라서 언제부터인가 상류층 사람들은 서민들이 붐비는 15일 밤을 피하여 그 전 날인 14일 밤에 다리밟기를 하였는데, 이를 가리켜‘양반답교’라고 하였다.

또 부녀자들은 14·15일을 피하여 16일 밤에 행하였다. 결국 다리밟기는 정월 대보름 하루 동안의 행사가 아니라 3일 동안 계속될 정도로 크게 성행하였던 것이다.
다리밟기는 시간이 흐를수록 다소 변형되어 1940년대 서울지방의 경우 보름날 남자만이 다라밟기를 하였으며, 열두 다리만 건너는 것이 아니라 도성 안에 있는 모든 다리를 건넜다고 한다. 이후 서울에 있었던 하천과 다리가 하나 둘 사라지면서 다리밟기도 점차 사라져갔으며, 지금은 송파 답교놀이만이 복원되어 민속놀이로 계속 전승되고 있다.

OPEN 공공누리 | 출처표시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컨텐츠 담당자 및 만족도 평가

담당부서 :
청계천관리처
담당팀 :
운영팀
전화 :
02-2290-7111~3(청계천종합상황실)

컨텐츠 만족도 평가